느헤미야 06:1-14
1. 본문 말씀
1) 악한 계획을 품은 대적자들
1. 산발랏과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 게셈과 그 나머지 우리의 원수들이 내가 성벽을 건축하여 허물어진 틈을 남기지 아니하였다 함을 들었는데 그 때는 내가 아직 성문에 문짝을 달지 못한 때였더라
2. 산발랏과 게셈이 내게 사람을 보내어 이르기를 오라 우리가 오노 평지 한 촌에서 서로 만나자 하니 실상은 나를 해하고자 함이었더라
3. 내가 곧 그들에게 사자들을 보내어 이르기를 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내려가지 못하겠노라 어찌하여 역사를 중지하게 하고 너희에게로 내려가겠느냐 하매
4. 그들이 네 번이나 이같이 내게 사람을 보내되 나는 꼭 같이 대답하였더니
5. 산발랏이 다섯 번째는 그 종자의 손에 봉하지 않은 편지를 들려 내게 보냈는데
6. 그 글에 이르기를 이방 중에도 소문이 있고 가스무도 말하기를 너와 유다 사람들이 모반하려 하여 성벽을 건축한다 하나니 네가 그 말과 같이 왕이 되려 하는도다
7. 또 네가 선지자를 세워 예루살렘에서 너를 들어 선전하기를 유다에 왕이 있다 하게 하였으니 지금 이 말이 왕에게 들릴지라 그런즉 너는 이제 오라 함께 의논하자 하였기로
8. 내가 사람을 보내어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말한 바 이런 일은 없는 일이요 네 마음에서 지어낸 것이라 하였나니
9. 이는 그들이 다 우리를 두렵게 하고자 하여 말하기를 그들의 손이 피곤하여 역사를 중지하고 이루지 못하리라 함이라 이제 내 손을 힘있게 하옵소서 하였노라
10. 이 후에 므헤다벨의 손자 들라야의 아들 스마야가 두문불출 하기로 내가 그 집에 가니 그가 이르기를 그들이 너를 죽이러 올 터이니 우리가 하나님의 전으로 가서 외소 안에 머물고 그 문을 닫자 저들이 반드시 밤에 와서 너를 죽이리라 하기로
11. 내가 이르기를 나 같은 자가 어찌 도망하며 나 같은 몸이면 누가 외소에 들어가서 생명을 보존하겠느냐 나는 들어가지 않겠노라 하고
12. 깨달은즉 그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바가 아니라 도비야와 산발랏에게 뇌물을 받고 내게 이런 예언을 함이라
13. 그들이 뇌물을 준 까닭은 나를 두렵게 하고 이렇게 함으로 범죄하게 하고 악한 말을 지어 나를 비방하려 함이었느니라
14. 내 하나님이여 도비야와 산발랏과 여선지 노아댜와 그 남은 선지자들 곧 나를 두렵게 하고자 한 자들의 소행을 기억하옵소서 하였노라
................................................
2. 묵상 나눔
1) 거룩한 성벽을 쌓는데 힘써야 합니다.
대적자들은 느헤미야가 성벽의 무너진 곳들을 메웠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들은 느헤미야를 헤치기 위해 "한 마을에서 만나자"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습니다(1-2절).
이들의 계략을 간파한 느헤미야는 "성벽 공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만날 수 없다"는 말로 제안을 거절했습니다(3절). 그런데도 그들은 4번씩이나 똑같은 편지를 보내 만나자고 제안했고, 느헤미야는 이 모든 제안을 거절했습니다(4절).
대적들의 집요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들의 요구에 '단 한 번도' 응하지 않았습니다.
오늘 매일성경 '해설'에서는 이 부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대적들은 같은 요구를 4번이나 반복할 만큼 절박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는 틈을 주지 않습니다. '한 번쯤'이라는 여지는 사탄이 성도를 유혹하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작은 타협, 조그만 악을 거절하지 않으면, 그것이 큰 성벽을 무너뜨리는 단초가 됩니다. 나를 시험하는 '한 번만'의 유혹은 무엇입니까?
예수님께서 광야에 계실 때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마귀가 와서 3번이나 예수님을 시험했습니다. 마귀는 교묘하게 다가올 뿐만 아니라, 집요하게 공격합니다.
이와 같은 유혹과 공격을 무엇으로 이길 수 있을까요? 마음의 성전을 지키기 위해 거룩한 성벽을 쌓아야 합니다. 느헤미야가 대적들의 집요한 유혹을 멀리하고 성벽 재건하는 일에 힘썼던 것처럼, 우리들 역시 마음을 지키기 위해 힘써야 합니다.
질문 : 나를 유혹하는 '한 번만'은 무엇입니까? 마음의 성전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힘쓰고 있습니까?
................................................
2) 어려운 일을 만났을 때, 기도해야 합니다.
느헤미야가 지속적으로 거절하자, 산발랏이 다섯 번째 편지는 인봉하지 않고 보냈습니다(5절), 그 이유는 누구든지 편지를 읽고, 느헤미야에 대한 악한 소문을 만들어내기 위함이었습니다(9절).
이 편지에는 "느헤미야가 반역을 도모하기 위해 성벽을 쌓고 있으며, 완공이 된 후에는 왕이 되려한다는 소문이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6-7절).
느헤미야는 "이런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당신이 자기 멋대로 꾸며낸 이야기에 불과하다"고 답변했습니다(8절). 그리고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힘을 주시도록 기도했습니다(9절).
대적자들이 지어낸 거짓 뉴스는 유다의 총독이었던 느헤미야를 곤경에 빠지게 할 만큼 위험한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정치적인 입지 뿐만 아니라, 역모죄에 엮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위급한 상황 속에서도 느헤미야는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그는 자신의 결백함을 증명하기 위해 대적자들을 만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그는 자신이 처한 어려움을 가지고 하나님 앞에 엎드려 기도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문제가 있을 때, 골방에 있다가도 밖으로 나갑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문제가 있을 때 골방에 들어가 기도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왜냐하면 은밀한 중에 보시는 하나님께서 갚으시기 때문입니다.
'너는 기도할 때에 네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고 은밀한 중에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갚으시리라'(마 6:6)
다윗이 골리앗과 전쟁할 때처럼 싸워야할 때도 있지만, 느헤미야처럼 대적들의 함정을 피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대적들과 싸우기 위해선 용기만 필요한 게 아니라, 지혜도 있어야 합니다.
질문 : 나의 결백함을 스스로 증명하기 위해 싸웁니까, 아니면 하나님께 엎드려 기도합니까? 지금 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나가서 싸워야 하는 문제입니까, 아니면 엎드려 기도해야하는 문제입니까?
................................................
3) 순종은 위기를 벗어나게 합니다.
느헤미야가 예언자 스마야의 집에 찾아갔을 때, 그는 느헤미야에게 "사람들이 당신을 죽이러 올 것이니 성소 안에 들어가 문을 걸어 잠가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10절).
그때에 느헤미야는 예언자 스마야가 하나님께서 보내신 예언자가 아님을 알았습니다(12a절). 왜냐하면 성소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은 제사장에게만 주어졌는데, 제사장이 아닌 느헤미야에게 성소로 피하라고 권면했기 때문입니다.
스마야가 거짓 예언을 한 까닭은 산발랏과 도비야에게 매수되었기 때문입니다(12b절). 그는 느헤미야에게 겁을 주어 성소를 범하는 죄를 짓게 하고, 사람들에게 비방을 당하게 하려 했습니다(13절).
하지만 느헤미야는 성소에 들어가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말로, 스마야의 미혹에서 벗어났습니다(11절). 그리고 자신을 해하려고 거짓 예언을 하던 이들을 심판해주시기를 기도했습니다(14절).
스마야는 "사람들이 당신을 죽이러 올 것이다"라는 예언으로 느헤미야를 불안감을 주고, "성소에 들어가 문을 걸어 잠그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은 "말씀을 순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장 너부터 살고 봐야하지 않겠냐"는 현실적인 제안이었습니다.
뱀이 하와를 유혹할 때처럼, 스마야는 이렇게 느헤미야의 불순종을 유도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스마야는 산발랏 보다 고단수입니다.
그러나 느헤미야는 말씀 순종의 원칙을 지켰습니다. 대적자들에게 죽임을 당하더라도, 말씀에 불순종하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으로, 스마야의 미혹에서 벗어났습니다.
말씀에 순종하면, 미혹인지 아닌지를 분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말씀에 순종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나를 위기에서 건져주십니다.
질문 : 당장의 유익 보다,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길을 선택하고 있습니까? 어떤 결정을 내릴 떄, 나의 기준은 말씀에 순종하는 길인지, 아닌지에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