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3:31-43
1. 본문 말씀
1) 겨자씨와 누룩 비유
31.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32.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33. 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천국은 마치 여자가 가루 서 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
................................................
2) 비유로 말씀하신 이유
34. 예수께서 이 모든 것을 무리에게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가 아니면 아무 것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니
35. 이는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내가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고 창세부터 감추인 것들을 드러내리라 함을 이루려 하심이라
................................................
3) 가라지 비유에 대한 해석
36. 이에 예수께서 무리를 떠나사 집에 들어가시니 제자들이 나아와 이르되 밭의 가라지의 비유를 우리에게 설명하여 주소서
37. 대답하여 이르시되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인자요
38.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이요
39. 가라지를 뿌린 원수는 마귀요 추수 때는 세상 끝이요 추수꾼은 천사들이니
40. 그런즉 가라지를 거두어 불에 사르는 것 같이 세상 끝에도 그러하리라
41. 인자가 그 천사들을 보내리니 그들이 그 나라에서 모든 넘어지게 하는 것과 또 불법을 행하는 자들을 거두어 내어
42. 풀무 불에 던져 넣으리니 거기서 울며 이를 갈게 되리라
43. 그 때에 의인들은 자기 아버지 나라에서 해와 같이 빛나리라 귀 있는 자는 들으라
................................................
2. 묵상 나눔
1)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겨자씨는 2-3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고, 누룩은 빵을 크게 부풀어 오르게 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도 겨자씨와 같아서 사람들의 눈에 쉽게 발견되지 않습니다. "여기에 하나님의 나라가 있다"라고 말해도, "작아서 내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거절을 당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반드시 크게 자라나고, 누룩처럼 믿는 사람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겨자씨가 땅에 심겨있을 때 열매를 맺고, 누룩이 밀가루와 섞여 있을 때 빵을 부풀게 하는 것처럼, 우리가 주님과 연합되어 있을 때 하나님의 나라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나님의 나라가 내 삶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면, 내가 그 만큼 주님과 연합되어 있지 않다라는 뜻입니다.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에 영향력을 나타내려면 사람들과 연합되어 있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믿는 사람들이 안 믿는 사람들에게 복음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구별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분리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누룩이 밀가루와 섞여 있어야 하는 것처럼, 우리들 역시 믿지 않는 사람들과 섞여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믿음의 영향력이 발휘됩니다.
질문 : 겨자씨처럼 하나님의 나라가 내 삶에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까? 누룩처럼 하나님의 나라가 내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사람들의 마음에 겨자씨와 같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심고 있습니까?
................................................
2) 작은 것도 소홀히 여기지 말아야 합니다.
겨자씨는 매우 작아서 쉽게 발견되지 않고, 발견한 사람에게서 조차 작다라는 이유로 무시를 당합니다. 하지만 작은 겨자씨에도 새들이 깃들일 만큼 놀라운 생명력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겨자씨 한 알을 심는 것은 별 것 아닙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아주 쉬운 일입니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고, 너무 쉬운 일이기 때문에 소홀히 여겨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말씀을 묵상하는 일은 겨자씨 한 알을 마음에 심는 것과 같습니다. 어린 아이들도 할 수 있을 만큼 쉬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 가운데 말씀의 씨앗을 마음에 심는 것을 소홀히 여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겨자씨를 심기 보다 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어합니다.
혹시 "하루에 몇 구절을 묵상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고 생각하고, 말씀 묵상의 유익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다면, 가나안 정복을 목전에 두고 있던 여호수아를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여호수아에게 내리신 명령은 "나무를 심으라"는게 아니라, "주야로 묵상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말씀 묵상이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는 것 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큰 게 아닌 작은 것에서 시작됩니다. 따라서 작은 것을 소홀히 여기지 말아야 합니다.
말씀 묵상처럼 겨자씨 한 알을 날마다 마음 밭에 심고, 인내하고 기다리면 반드시 열매를 맺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은 활력이 있고, 생명으로 가득하기 때문입니다(히 4:12).
자라나는게 더디고, 눈에 보이지 않는다하여 낙심하지 말고, 말씀 묵상에 힘쓰시기 바랍니다. 때가 이르면 반드시 거둡니다.
질문 : 날마다 마음과 생각 속에 말씀의 씨앗을 심고 있습니까? 내 곁에 있는 사람들의 마음 밭에도 말씀의 씨앗을 뿌리고 있습니까?
기도 : "하나님. 겨자씨처럼 작은 씨앗들을 마음 밭에 뿌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광야와 같고, 사막과 같이 황폐한 땅이지만, 낙심하지 않고 인내함으로 꽃이 피는 역사를 보게 하옵소서"
....................................................
3) 말씀을 사모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무리도 이해하지 못했고, 제자들도 깨닫지 못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보면 무리나 제자나 영적인 깨달음이 없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하지만 비유를 깨닫지 못하고 돌아갔던 무리들과 다르게, 제자들은 예수님께 이렇게 요청했습니다.
'밭의 가라지의 비유를 우리에게 설명하여 주소서'(36절).
무리들은 묻지 않았지만, 제자들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예수님께 물었습니다.
무리들은 표적을 구하고, 오병이어 사건에서 보듯 떡을 구합니다. 하지만 제자들은 말씀을 사모하고,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깨닫기 원합니다.
질문 : 말씀을 들을 때, 어떤 태도로 듣고 있습니까? 궁금한게 있으면 설교자나 목회자에게 묻습니까? 말씀을 깨닫기 위해 지혜를 구합니까?
기도 : "하나님. 주님의 말씀을 사모하는 마음을 허락해 주옵소서. 사람의 지혜와 지식이 아닌 주님의 가르침으로 말씀을 깨닫게 됨을 고백하오니, 주께서 친히 가르쳐주셔서 말씀의 비밀을 깨닫게 하옵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