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2:31-37
1. 본문 말씀
31.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에 대한 모든 죄와 모독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모독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
32. 또 누구든지 말로 인자를 거역하면 사하심을 얻되 누구든지 말로 성령을 거역하면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서도 사하심을 얻지 못하리라
33. 나무도 좋고 열매도 좋다 하든지 나무도 좋지 않고 열매도 좋지 않다 하든지 하라 그 열매로 나무를 아느니라
34. 독사의 자식들아 너희는 악하니 어떻게 선한 말을 할 수 있느냐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
35. 선한 사람은 그 쌓은 선에서 선한 것을 내고 악한 사람은 그 쌓은 악에서 악한 것을 내느니라
36.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이 무슨 무익한 말을 하든지 심판 날에 이에 대하여 심문을 받으리니
37. 네 말로 의롭다 함을 받고 네 말로 정죄함을 받으리라
................................................................
2. 묵상 나눔
1) 열매를 보면 나무를 알 수 있습니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어떤 연예인이 "나무를 보면 어떤 나무인지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사회자가 잎사귀가 없는 나무들을 보여주며 이름을 맞춰보라고 했는데, 하나도 맞추지 못했습니다.
만약 그에게 열매가 달린 나무를 보여줬으면, 하나도 틀리지 않고 다 맞췄을 것입니다.
우리가 열매를 보고 어떤 나무인지 아는 것처럼, 말을 들어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습니다.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는 것처럼, 생명이 가득한 사람의 입에서는 영혼을 살리는 말이 나옵니다.
예수님께서는 "선한 마음에서 선한 것이 나오고, 악한 마음에서 악한 것이 나온다"고 말씀하셨습니다(33절).
이 말씀은 착한 말, 바르고 고운 말, 교양 있는 말을 하라는 게 아닙니다. 겉으로 아무리 교양 있는 말을 하고, 착한 말을 하고, 욕을 하지 않을지라도, 마음에 예수님의 생명이 없는 사람의 말은 영혼을 살리지 못합니다. 무슨 말이든 예수님과 멀어지게 하는 말은 악할 뿐입니다.
예수님께서 "선한 사람은 그 쌓은 선에서 선한 것을 낸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어떻게 하면 선한 말을 할까?"를 고민하기 보다는 "내 안에 예수님의 생명이 충만한가?"를 점검해야 합니다.
말 실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내 마음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채우기 위해 말씀을 읽고, 묵상해야 합니다. 언어의 습관을 고치기 전에 마음이 변해야 합니다.
질문 : 예수님의 생명이 내 언어를 통해 흘러가고 있습니까? 하나님의 말씀으로 내 영혼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까? 영혼에 유익을 주는 말을 합니까?
기도 : "하나님. 제 안에 예수님의 생명이 충만하기를 소원합니다. 무익하고, 의미 없는 말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말을 하게 하옵소서. 한 마디를 하더라도 하나님께 영광이 되고, 듣는 이에게 소망이 되는 말을 하게 하옵소서"
........................................................
2) 실족케 하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귀신이 쫓겨난 것을 보며 사람들은 "이는 다윗의 자손이 아니냐?"라고 웅성거렸습니다(23절). 이 말은 "예수님은 다윗의 자손이시다"라는 확신에 찬 고백이 아니라, "혹시 이 분이 다윗의 자손, 메시아가 아니실까?"라는 궁금증으로 내뱉은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믿음이 이제 조금씩 싹트려는 때에 바리새인들이 찬 물을 끼얹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귀신의 왕 바알세불을 힘입어서 귀신을 내쫓는다"라는 말로 믿음의 길에 들어서지 못하게 했습니다. 한마디로 "예수님 믿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바리새인들의 이런 태도를 책망하셨습니다. 후에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을 향해 예수님께서 이렇게 책망하셨습니다.
"천국 문을 사람들 앞에서 닫고, 자신들도 들어가지 않고, 또한 들어가려 하는 사람들도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사람들아!!!"(마 23:15).
바리새인들은 믿음을 세워주는 사람이 아닌 실족케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차라리 연자 맷돌을 그 목에 달려 깊은 바다에 빠지는 것이 낫습니다'(마 18:6).
당시 로마군인들은 혁명을 일으킨 사람을 갈릴리 바다에서 처형했는데, 이때 죄수의 목에 연자 맷돌을 걸어 바다에 수장시켰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처형당한 사람이 믿는 사람을 실족하게 하는 사람 보다 낫다고 하셨습니다.
그 만큼 믿음을 실족케하는 것은 심각한 죄인데, 이것은 '성령을 거역하는 죄'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사탄은 스스로 사탄을 내쫓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스스로 분쟁하는 나라 마다 설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귀신이 쫓겨나가는 것은 귀신들이 분쟁한 결과가 아닙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역사하신 결과입니다. 하지만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알면서도 "귀신의 왕 바알세불이 했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의 역사임을 알았지만, 의도적으로 비난했습니다. 이런 죄는 성령의 역사를 모독하는 것이기에 사하심을 받지 못합니다.
성령을 모독하는 죄가 사하심을 받지 못하는 또다른 이유는 성령님을 거부하기 때문입니다. 성령님은 죄인들을 회개하게 하시는데, 성령의 역사를 거부하는 것은 회개의 기회를 거절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성령을 모독하는 죄에는 용서가 있을 수 없습니다.
질문 :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에 대한 미움으로 인해 성령의 역사까지 비난했던 것처럼, 영적인 지도자에 대한 미움으로 인해 성령의 역사까지 왜곡시키지는 않습니까? 상대방에게 수치를 주기 위해 악의적으로 진실을 왜곡하지는 않습니까?
기도 : "하나님,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말들을 합니다. 혹여라도 제 말에 있는 실수로 인해 누군가가 주님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게 하옵소서. 내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하지 않게 하옵소서"